2024년 2월 27일 화요일

생성AI 기반 코딩 에이전트 개발하기

 이 글은 GitHub Copilot과 같은 생성AI 기반 코딩 에이전트 개발방법을 간단히 정리한다.

CODE LLAMA 개념도

머리말
Code LLAMA는 코드 작업에 특화된 LLAMA2 기반 기술로, 커뮤니티 라이센스로 릴리즈되었다. 코드 라마는 라마2 기반으로 5,000억 토큰 코드 데이터를 학습하였다. 파이썬, 자연어 명령어를 이해할 수 있고, 미세 조정을 통해 성능을 개선했다. 

파이썬, C++, JAVA, PHP. C#, TypeScript, Bash 코드 생성을 지원한다. 7B, 13B 모델을 제공하며, 16k 컨텍스트 길이를 학습하였다. 코드 라마는 위치 임베딩을 을 스케일링할 수 있는 RoPE가 적용되었다. 
코드 학습 예시

라마2를 이용해 인터뷰 프로그래밍 질문 항목을 만들고, 코드 라마를 통해 테스트를 수행해 평가되었다. 

이 글은 다음 개발환경에서 동작되었다. 
  • NVIDIA GPU (Over 28 GB RAM), CUDA 12.1, PyTorch 2.1.2+cu121 (link)
이 글은 학습모델을 최적화하기 위해, 4비트 양자화를 사용해, 크기를 줄인 모델을 사용한다.
4비트 양자화 개념도

코드 라마 사용 방법
4.33 버전부터는 학습 및 추론 예제, 안전한 텐서 포맷(safetensors), 4비트 양자화, 파라메터 미세조정(PEFT), 모델 생성 지원 도우, 배포 등 기능이 트랜스포머 라이브러리에 추가되었다. 다음과 같이 최신 버전을 설치한다.
pip install --upgrade transformers
pip install accelerate peft bitsandbytes transformers trl

다음은 코드 라마 모델을 로딩하고, 트랜스포머 파이프라인을  생성한 후, 기본적인 함수 정의를 생성하는 예제이다. 입력하고 실행해 본다.
from transformers import AutoTokenizer
import transformers
import torch

tokenizer = AutoTokenizer.from_pretrained("codellama/CodeLlama-7b-hf")
pipeline = transformers.pipeline(
    "text-generation",
    model="codellama/CodeLlama-7b-hf",
    torch_dtype=torch.float16,
    device_map="auto",
)

sequences = pipeline(
    'def fibonacci(',
    do_sample=True,
    temperature=0.2,
    top_p=0.9,
    num_return_sequences=1,
    eos_token_id=tokenizer.eos_token_id,
    max_length=100,
)
for seq in sequences:
    print(f"Result: {seq['generated_text']}")

다음은 그 결과를 보여준다.

이 경우 70억 파라메터를 가진 모델이기 때문에, 최소한 28GB이상 GPU RAM이 필요하다(4바이트일경우 = 7 x 10^9 x 4 bytes. 8바이트일 경우 56GB). 

라마2 미세 조정 방법은 다음 링크를 참고한다. 

마무리
코딩에 대한 생성 AI 모델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HumanEval 데이터세트에서 벤치마킹된다. 이 데이터세트는 모델 함수 서명과 스트링이 제공되며, 함수 본문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과제로 구성된다. 생성된 코드는 미리 정의된 단위 테스트 세트를 실행해 검증한다. 그 결과 얼마나 많은 테스트를 통과했는 지 비율이 리포트된다. 

다음은 그 결과 리더보드 평균 점수를 보여준다. 

레퍼런스
부록. Text to SQL 아키텍처
모델 아키텍처(참고. Text to SQL)




2024년 2월 25일 일요일

오픈소스 LLaVA 기반 ChatGPT 4.0 유사한 멀티모달 생성AI 서비스 만들기

이 글은 ChatGPT 4.0과 같은 LMM(Large langauge Multi-modal Model. 멀티모달 대규모 언어모델)인 LLaVA(Large Language and Vision Assistant. 라바)기반 멀티모달 생성AI 서비스 개발 방법을 나눔한다. 

LLaVA는 Image To Text와 같은 언어-이미지 시각 어시스턴스(Language-Image Visual Assistant)를 지원하기 위해, ViT(Visual Instruction Tuning. 시각적 지시 조정)을 기반으로 개발된 멀티모달 모델 오픈소스이다. 예를 들어, 이미지를 단순히 분류해 주는 것이 아닌, 이미지 내 특정 객체들을 인식하고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기술을 지원한다.
단독 로컬 서버PC에서 LLaVA 서비스 모습

참고로, ViT는 이미지의 특정 위치에 대한 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GPT-4는 특정 부분의 시각적 특징을 인코딩하기 위해 YOLO모델과 같이 경계 상자를 사용하고, CLIP모델과 같이 해당 부분에 대한 텍스트 임베딩을 입력하여 학습한다(Visual Instruction Tuning).
ViT(Visual Instruction Tuning) 개념

LLaVA의 NeXT버전은 구글 제미나이 프로 성능을 능가했다고 밝혔으며, 이전 버전인 LLaVA 1.5에 비해 이미지 해상도, OCR 기능 등이 개선되었다고 한다. 

LLaVA 아키텍처

이 글은 Ollama를 이용해 LLaVA NeXT를 로컬 PC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따라해 본다. 

머리말
LLaVA는 대형 멀티모달 모델으로, GPT-4.0과 유사한 LMM을 개발하고자, 마이크로소프트 연구팀에서 오픈소스로 개발되었다. MS는 LLaVA의 논문, github code, demo site 등을 공개하였다. 
LLaVA LMM(Large language Multi-modal Model)은 비전 인코더, LLM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Image to Text에서 인상적인 성능을 보여준다. LLaVA는 비전 인코더로 OpenAI에서 공개한 CLIP 모델을 사용했으며, 메타(페이스북)에서 공개한 LLaMA 기반 Vicuna LLM 모델을 사용했다. 학습은 A100 GPU x 8 x 1 Day 와 60만개 데이터셋을 사용했다.

LLaVA를 설치하고, 실행해 보기 위해서는 다음 개발환경이 컴퓨터에 미리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Ubuntu, NVIDIA, CUDA등 설치 방법은 앞의 글 참고).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해 LLAVA모델을 설치한다.  

제대로 설치되면, 다음과 같이 프롬프트 질문과 답변을 얻을 수 있다.
LLaVA모델에게 PyThon 코딩 요청한 모습

개발환경 준비
다음 명령을 터미널에서 실행한다. 
git clone https://github.com/haotian-liu/LLaVA.git
conda create -n venv_lmm python=3.10 -y
conda activate venv_lmm
pip install --upgrade pip
pip install -e .
pip install cog

LLaVA 실행하기
다음 명령을 각 터미널에서 실행한다.
python -m llava.serve.controller --host 0.0.0.0 --port 10000

python -m llava.serve.model_worker --host 0.0.0.0 --controller http://localhost:10000 --port 40000 --worker http://localhost:40000 --model-path liuhaotian/llava-v1.6-34b --load-4bit
다운로드된 학습 모델은 다음 폴더에 저장된다(불필요한 모델 파일은 rm -rf 명령으로 삭제할 수 있음).

참고로, 모델 다운로드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실행해 놓고, 다른 일을 하는 것이 좋다. 

모델 다운로드 후 다음을 실행한다. 그럼 gradio_web_server 웹서버가 실행되고, 해당 주소로 LLaVA UI가 서비스된다. 참고로 Gradio는 머신러닝 파이프라인을 위한 Web App을 빠르게 만들 수 잇는 파이썬 라이브러리이다(참고). 
python -m llava.serve.gradio_web_server --controller http://localhost:10000 --model-list-mode reload --share

실행되면, 다음과 같이 Gradio 웹 인터페이스가 실행된다. 궁금한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적절히 잘 대답해준다. 

다음과 같이 적절한 이미지를 입력해 보고, 질문해 본다. 그럼, 그림 내용을 묘사 설명해준다.

LLaVA 모델 에러 처리 방법
실제로 LLaVA 모델을 실행해보면 다양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은 시행착오를 정리한 것이다.
 
1. llava.service 에러가 발생하면, OLLAMA를 다음과 같이 설치하고 다시 시도한다. 
curl -fsSL https://ollama.com/install.sh | sh

2. 패키지 설치가 잘못되었을 수 있다. 이 시점에도 LLaVA모델 코드는 계속 수정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이유로 패키지 버전 불일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에러를 확인해 하나씩 적절한 패키지 버전을 설치한다. 
pip install llava cog pydantic fastapi gradio protobuf

3. 앞의 내용 실행 중 허깅페이스 CLI 토큰 입력 요청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아래 링크를 참고해, 토큰을 발급받고, 입력한다. 
Huggingface Token 발급 예시(Hugging Face Access Token)

4. bitsandbytes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UserWarning: The installed version of bitsandbytes was compiled without GPU support. 8-bit optimizers, 8-bit multiplication, and GPU quantization are unavailable" warn("The installed version of bitsandbytes was compiled without GPU support. " 'NoneType' object has no attribute 'cadam32bit_grad_fp

이 경우, 다음 링크를 참고해 해결해야 한다.

5. GPU RAM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럼, 좀 더 작은 사이즈 모델(참고)을 다운로드받아 서버를 실행한다.
python -m llava.serve.model_worker --host 0.0.0.0 --controller http://localhost:10000 --port 40000 --worker http://localhost:40000 --model-path liuhaotian/llava-v1.5-7b --load-4bit

마무리
ChatGPT-4와 같은 LMM을 LLaVA를 이용해 코드 한 줄 없이 로컬 PC에 설치하고,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실행 결과 LLaVA의 꽤 훌륭한 LMM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아직 특정 전문 분야의 멀티 모달리티 성능은 아직 그리 좋지 못하다. 참고로, MS, Google과 같은 빅테크 기업들은 시장성이 큰 헬스케어 분야에서 대학 병원 등과 협업하여, 이런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조만간 더욱 발전될 것이다.
LLAVA-Med (Microsoft)
LLaVA-Med 학습 예시(헬스케어 분야. Microsoft)

레퍼런스

OpenAI SORA 같은 AI Text To Video 기술 개발 동향과 사용법 소개

이 글은 생성AI Text To Video 모델 개발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머리말
얼마전 공개된 OpenAI의 SORA는 생성AI 기술이 혁신적으로 발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이와 관련된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진행중에 있어, 이를 간략히 살펴보도록 한다. 
Text to Video(Lumiere, 2024)

이 기술은 간단히 말하면, 기존 이미지-텍스트 생성AI 기술인 스테이블 디퓨전에서 시간축을 학습 시 함께 고려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좀 더 상세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한다.
오픈AI 소라 동작 메커니즘 설명

Generative Models by Stability AI
2023년 11월에 릴리즈한 이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Stability AI에서 개발한 것이다.

이 기술은 공개한 SDXL기술에 기반하여, ADD(Adversarial Diffusion Distillation)을 적용하여,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생성한다(논문 참고). ADD기술을 통해, 디퓨전 시 문제되는 흐릿한 영상 생성 이슈를 해결하고, 엉뚱하게 생성되는 손가락 문제 등을 해결한다. 
ADD

이 기술은 오픈소스로 깃허브에 공개되었다.

CogVideo
칭화대학 연구소에서 개발한 CogVideo는 막대한 학습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전학습된 모델을 상혹하여 9B 파라메터 모델 수준에서 학습이 가능한 CogVideo모델을 제안한다. 


이 기술은 동영상의 각 프레임을 이미지 토큰화하고, 고정 길이 훈련 시퀀스로 만든다. 프레임 사이는 보간되도록 모델을 처리한다. 고품질 텍스트-비디오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매우 많은 비용이 소모되므로, 사전 훈련된 이미지 생성 모델을 사용한다. 트랜스포머 어텐션은 듀얼 채널로 확장되었다. 

이 기술 또한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다.
이외에 다음과 같은 생성 AI 모델이 공개되어 있다.
  • TiVGAN 및 MoCoGAN(code): GAN 모델 기반 영상 생성 방법. 초기 기술 연구 방향을 확인해 볼 수 있음

텍스트-to-비디오 생성AI 프로그램 개발해 보기
이와 관련된 서비스 개발 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모델 위주로 라이브러리를 간단히 사용해본다. 이 글에서는 허깅페이스에서 개발한 트랜스포머의 디퓨전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터미널에서 다음을 실행한다.
pip install transformers diffusion accelerate

새로운 파이썬 파일 text-video.py를 만들고, 다음 코드를 입력한다.
from transformers import AutoTokenizer, AutoModelForCLIP
from diffusers.pipelines import TextToVideoZeroSDXLPipeline
from torchvision import video
from transformers import AutoTokenizer, AutoModelForCLIP
from diffusers.pipelines import TextToVideoZeroSDXLPipeline
from torchvision import video

text_prompt = "A group of friends enjoy a picnic in a park on a sunny day."

text_encoder = AutoModelForCLIP.from_pretrained("laion/CLIP-ViT-bigG-14-laion2B-39B-b160k")
pipeline = TextToVideoZeroSDXLPipeline(text_encoder=text_encoder)

video_path = pipeline.generate_video(text=text_prompt, resolution="1920x1080")
video = video.VideoReader(video_path)
video.write_videofile("generated_video.mp4")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입력된 텍스트에 맞는 영상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레퍼런스

2024년 2월 18일 일요일

파이토치로 멀티모달 생성AI 모델, Stable Diffusion 아키텍처를 코딩, 구현해보기

이 글은 Text-To-Image 생성AI 기술을 대중화시킨 Stable Diffusion 아키텍처를 파이토치로 직접 개발해본다. 이를 통해, 앞서 분석한 스테이블 디퓨전 아키텍처를 어떻게 동작하는 코드로 맵핑했는 지를 확인한다.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은 기존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개발된 트랜스포머, 컴퓨터 비전 딥러닝 모델 기술을 적극 사용한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깊게 이해하고 싶다면 다음을 참고한다. 
이 글은 스테이블 디퓨전의 핵심 모델인 트랜스포머, CLIP 등의 이해를 필수로 한다. 이는 다음 글을 참고한다. 
이 글은 멀티모달, 디퓨전과 관련된 다양한 문헌을 참고해 정리된 것이다. 관련 내용은 이 글의 레퍼런스를 참고한다. 참고로, 이 글의 소스 파일은 github에 공개된 Binxu의 코드(참고. Kempner Institute, Harvard University)와 Fareed Khan 코드(2024)를 참고한 것이다. 

이 글 소스 파일은 다음 github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 가능하다. 참고로, 이 코드는 GPU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PyTorch가 설치된 conda 개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스테이블 디퓨전 아키텍처 모델의 깊은 이해가 아닌, 프로그램 설치 사용 만을 원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한다.
스테이블 디퓨전 아키텍처 구성요소
앞의 글에서 설명했듯이, 스테이블 디퓨전은 다음 그림과 같이 디퓨전 모델, U-Net, 오토인코더(Autoencoder), 트랜스포머(Transformer) 어텐션 모델(Attention)을 사용해, 학습한 모델을 역으로 계산해 주어진 텍스트 조건에서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스테이블 디퓨전 아키텍처 기반 Text To Image 생성(Inference) 및 학습 과정

이 글에서 구현할 아키텍처 구성요소를 나열해 본다. 
  • VAE 오토인코더: 입출력 데이터를 잠재공간차원에 맵핑. 계산 성능을 높임
  • 순방향 확산(forward diffusion): 입력 이미지에서 점진적으로 노이즈 이미지로 계산. 학습용 데이터로 사용.
  • 역방향 확산(Reverse diffusion): 노이즈에서 이미지를 생성
  • U-Net: 노이즈 예측 학습용
  • 컨디셔닝: 텍스트에 따른 조건부 이미지 생성용. CLIP모델 같은 트랜스포머 어텐션 사용

앞의 관련글에서 설명하였듯이, 스테이블 디퓨전 데이터 학습은 A100 x 50에서도 최소 몇 일은 걸리는 작업이다. 참고로, 독일 뮌헨 대학에서 학습한 규모의 이미지 데이터량을 학습하려면, 개인이 하기에는 비싼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므로, 이 글에서는 MNIST와 같은 소형 데이터셋을 대상으로 학습하여, 학습되는 파라메터 수를 GPU 2GB 내에서 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글에서 테스트된 스테이블 디퓨전 학습 시 필요한 GPU RAM 표시 

아키텍처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한다. 

학습 데이터 준비
MNIST 데이터를 준비한다. 이를 위해, torchvision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확인해 본다. 

import torch, torchvision,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torchvision import transforms

transform = transforms.Compose([transforms.ToTensor(), transforms.Normalize((0.5,), (0.5,))])
train_dataset = torchvision.datasets.MNIST(root='./data', train=True, transform=transform, download=True)
train_loader = torch.utils.data.DataLoader(train_dataset, batch_size=64, shuffle=True)

unique_images, unique_labels = next(iter(train_loader))
unique_images = unique_images.numpy()

row, column = 4, 16
fig, axes = plt.subplots(row, column, figsize=(16, 4), sharex=True, sharey=True)  

for i in range(row):  
    for j in range(column):  
        index = i * column + j  
        axes[i, j].imshow(unique_images[index].squeeze(), cmap='gray') 
plt.show()


디퓨전 모델 학습 방법 설계
스테이블 디퓨전의 학습 목표는 역확산을 통해 잡음을 제거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러므로, 잡음 제거를 목표로 하여 샘플의 잡음을 제거하도록 신경망을 훈련한다. 참고로, 여기서는 앞서 설명한 전확산, 역확산 과정을 입력 데이터 형식과 학습 성능을 고려해, 수정된 확산 모델을 사용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 노이즈 제거 목적 방정식을 정의한다.
여기서, p0(x0)는 목표의 분포(예. 고양이 이미지), x(noised)는 순방향 확산 후 목표 분포 x0의 샘플을 의미한다. 즉, [x(노이즈) - x0)는 정규 분포 확률 변수가 된다. 

이를 구현 가능한 방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노이즈 제거 목적 방정식

이기서, J는 노이즈 제거 목표, E는 기대치, t는 시간 매개변수, x0는 목표 분포 p0(x0)의 샘플, x(noise)는 한 단계 순확산 후 목표 분포 샘플 x0, s()는 score 함수, σ(t)는 시간 함수, ε는 정규확률분포변수이다. 

학습 목표는 확산 과정의 모든 시간 t와 원래 분포(예. 고양이, 가족 이미지 등)의 모든 x0에 대한 샘플에 추가되는 노이즈 양을 효과적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score 함수를 손실함수로 사용한다는 의미는 무작위 노이즈를 의미 있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학습한다는 뜻이 된다. 이를 위해, 신경망을 이용해 score 함수를 근사화한다. 

확산 모델 score 함수를 고려한 손실함수 구현은 순서 상 이 글 마지막에 다룬다.

시간 임베딩
score 함수는 시간에 따라 정확히 신경망이 반응하도록 구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시간 임베딩을 사용해 학습시킨다. 

시간 임베딩은 트랜스포머의 위치 임베딩과 유사한 정현파를 사용해 시간 특징을 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시간 표현을 학습 시 입력함으로써 시간 변화에 따라 확산 과정을 학습시키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시간종속적인 s(x, t)를 손실함수의 일부로 학습시킨다. 이를 위해, 다음 두 개 클래스를 만든다. 

1. 가우스 랜덤 기능 모듈 
이 모듈은 학습 컨텐스트에서 시간 단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이용하면, 각 시간단계 전반에 걸쳐 임의의 주파수가 생성된다. 이를 위해, 시간단계 별 sine, cosine 투영하여 시간 패턴 특징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신경망 학습에 입력된다. 

class GaussianFourierProjection(nn.Module):  # 시간 특징 계산 클래스
    def __init__(self, embed_dim, scale=30.): # 임베딩 차원, 랜덤 가중치(주파수)를 위한 스케일 변수
        super().__init__()

        self.W = nn.Parameter(torch.randn(embed_dim // 2) * scale, requires_grad=False)  # 랜덤 샘플링. 훈련 파라메터 아님.

    def forward(self, x): # 매 시간단위 텐서 입력
        x_proj = x[:, None] * self.W[None, :] * 2 * np.pi  # Cosine(2 pi freq x), Sine(2 pi freq x)
        return torch.cat([torch.sin(x_proj), torch.cos(x_proj)], dim=-1)  # 최종 sine, cosine 결과 벡터 결합

2. 특징 텐서 계산
입력을 4D 특징 텐서로 출력하는 모듈이다. 이 차원 재구성 작업은 다음 컨볼루션 계층 처리에 적합한 맵으로 변환하기 위함이다. 
class Dense(nn.Module): # 특징 계산 클래스
    def __init__(self, input_dim, output_dim):  # 입력 특징 차원, 출력 특징 차원
        super().__init__()
        self.dense = nn.Linear(input_dim, output_dim) # 선형 완전연결 레이어
    def forward(self, x): # 입력 텐서
        return self.dense(x)[..., None, None]  # 학습 후 4D텐서

U-Net 구현
이미지를 다룰 때, 이미지 특징을 캡쳐하기 위해, U-Net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U-Net 은 다른 공간 스케일에 대한 이미지 특징을 학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U-Net는 시간에 따라 어떻게 데이터가 변경되는 지를 학습해야 한다. 이 모델은 이 패턴을 학습한다. U-Net의 인코딩 경로는 이미지 해상도 다운샘플링, 특징 캡쳐를 위한 컨볼루션 레이어인 h1, h2, h3, h4로 구성된다. 디코딩 경로는 transpose 컨볼루션 레이어이며, 텐서 h가 h4에서 h1 레이어를 통과하여, 업샘플링된다. 

class UNet(nn.Module): # U-Net 모델 정의. nn.Module 클래스 상속
    def __init__(self, marginal_prob_std, channels=[32, 64, 128, 256], embed_dim=256):  # marginal_prob_std: 시간 t에 대한 표준편차 반환 함수, channels: 각 해상도의 특징 맵의 채널 수, embed_dim: 가우시안 랜덤 특징 임베딩의 차원
        super().__init__()

        # 시간에 대한 가우시안 랜덤 특징 임베딩 계층
        self.time_embed = nn.Sequential(
            GaussianFourierProjection(embed_dim=embed_dim),
            nn.Linear(embed_dim, embed_dim)
        )

        # 인코딩 레이어 (해상도 감소)
        self.conv1 = nn.Conv2d(1, channels[0], 3, stride=1, bias=False)
        self.dense1 = Dense(embed_dim, channels[0])
        self.gnorm1 = nn.GroupNorm(4, num_channels=channels[0])
        self.conv2 = nn.Conv2d(channels[0], channels[1], 3, stride=2, bias=False)
        self.dense2 = Dense(embed_dim, channels[1])
        self.gnorm2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1])

        # 추가 인코딩 레이어 (원본 코드에서 복사)
        self.conv3 = nn.Conv2d(channels[1], channels[2], 3, stride=2, bias=False)
        self.dense3 = Dense(embed_dim, channels[2])
        self.gnorm3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2])
        self.conv4 = nn.Conv2d(channels[2], channels[3], 3, stride=2, bias=False)
        self.dense4 = Dense(embed_dim, channels[3])
        self.gnorm4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3])

        # 해상도 증가를 위한 디코딩 레이어 
        self.tconv4 = nn.ConvTranspose2d(channels[3], channels[2], 3, stride=2, bias=False)
        self.dense5 = Dense(embed_dim, channels[2])
        self.tgnorm4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2])
        self.tconv3 = nn.ConvTranspose2d(channels[2], channels[1], 3, stride=2, bias=False, output_padding=1)
        self.dense6 = Dense(embed_dim, channels[1])
        self.tgnorm3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1])
        self.tconv2 = nn.ConvTranspose2d(channels[1], channels[0], 3, stride=2, bias=False, output_padding=1)
        self.dense7 = Dense(embed_dim, channels[0])
        self.tgnorm2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0])
        self.tconv1 = nn.ConvTranspose2d(channels[0], 1, 3, stride=1)

        # 스위치 활성화 함수
        self.act = lambda x: x * torch.sigmoid(x)
        self.marginal_prob_std = marginal_prob_std

    def forward(self, x, t, y=None):    # U-Net 아키텍처를 통과한 출력 텐서 반환. x: 입력 텐서, t: 시간 텐서, y: 타겟 텐서 (이 전방 통과에서 사용되지 않음). h: U-Net 아키텍처를 통과한 출력 텐서
        # t에 대한 가우시안 랜덤 특징 임베딩 획득
        embed = self.act(self.time_embed(t))

        # 인코딩 경로
        h1 = self.conv1(x) + self.dense1(embed)
        h1 = self.act(self.gnorm1(h1))
        h2 = self.conv2(h1) + self.dense2(embed)
        h2 = self.act(self.gnorm2(h2))

        # 추가 인코딩 경로 레이어 (원본 코드에서 복사)
        h3 = self.conv3(h2) + self.dense3(embed)
        h3 = self.act(self.gnorm3(h3))
        h4 = self.conv4(h3) + self.dense4(embed)
        h4 = self.act(self.gnorm4(h4))

        # 디코딩 경로
        h = self.tconv4(h4)
        h += self.dense5(embed)
        h = self.act(self.tgnorm4(h))
        h = self.tconv3(h + h3)
        h += self.dense6(embed)
        h = self.act(self.tgnorm3(h))
        h = self.tconv2(h + h2)
        h += self.dense7(embed)
        h = self.act(self.tgnorm2(h))
        h = self.tconv1(h + h1)

        # 정규화 출력
        h = h / self.marginal_prob_std(t)[:, None, None, None]
        return h

포워드 디퓨전 프로세스
전방향 확산 모델을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다음 방정식을 고려한다. 

이 방정식은 변수 x에 대한 변화가 시간 t에 대한 노이즈가 dw에 에 비례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노이즈 수준은 파라메터 σ에 결정되며, 지수적으로 증가한다. 

이 프로세스는 처음 x(0) 초기값이 주어지고, x(t)에 대한 분석적인 솔류션을 찾을 수 있다.  

이 모델에서, σ(t)는 표준 편차(marginal standard deviation)로 사용되며, x(t)는 분산의 변동으로 사용된다. σ(t)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이 모델은 시간에 따라 어떻게 잡음 수준 σ가 정해지는 지 이해를 제공한다. 다음은 이를 코딩한 것이다. 
device = "cuda"

def marginal_prob_std(t, sigma): # 시간 t에 대한 표준편차 반환 함수
    t = torch.tensor(t, device=device) # 시간 텐서    
    return torch.sqrt((sigma**(2 * t) - 1.) / 2. / np.log(sigma)) # 시간 t에 대한 표준편차 반환

def diffusion_coeff(t, sigma): # 확산 계수 함수. t: 시간 텐서, sigma: SDE의 시그마
    return torch.tensor(sigma**t, device=device) # 확산 계수 반환

sigma =  25.0
marginal_prob_std_fn = functools.partial(marginal_prob_std, sigma=sigma)
diffusion_coeff_fn = functools.partial(diffusion_coeff, sigma=sigma)

손실 함수 구현
U-Net 구현에 앞서, 언급되었던 score 함수를 학습할 수 있도록, loss 함수를 구현한다.

이 함수는 임의의 시간단위를 샘플링하고, 여기서 잡음 수준을 얻은 후, 이 잡음을 데이터와 더한다. 그리고, 실제 데이터와 에측 데이터간의 오차를 계산하여, 에러를 줄이를 방향으로 학습하도록 한다.

def loss_fn(model, x, marginal_prob_std, eps=1e-5): # 손실함수. score-based generative models 훈련용. model: 시간 의존 스코어 모델, x: 훈련 데이터 미니배치, marginal_prob_std: 표준편차 반환 함수, eps: 수치 안정성을 위한 허용값
    random_t = torch.rand(x.shape[0], device=x.device) * (1. - 2 * eps) + eps # 미니배치 크기만큼 랜덤 시간 샘플링

    std = marginal_prob_std(random_t)  # 랜덤 시간에 대한 표준편차 계산
    z = torch.randn_like(x)                   # 미니배치 크기만큼 정규 분포 랜덤 노이즈 생성    
    perturbed_x = x + z * std[:, None, None, None] # 노이즈로 입력 데이터 왜곡

    score = model(perturbed_x, random_t) # 왜곡 데이터, 시간 입력, 계산된 스코어 획득    
    loss = torch.mean(torch.sum((score * std[:, None, None, None] + z)**2, dim=(1, 2, 3))) # score 함수와 잡음에 기반한 손실값 계산
    
    return loss

샘플러 코딩
Stable Diffusion는 임의 시점에서 이미지를 생성한다. 노이즈 예측기(noise predictor)는 얼마나 이미지에 노이즈를 줄 것인지를 예측한다. 이 예측된 노이즈는 이미지로 부터 제거된다. 전체 사이클은 몇 번 반복되어 깨끗한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 clearning-up 프로세스를 '샘플링'으로 알려져 있고, 매 학습 단계마다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되도록 한다. 이를 샘플러, 샘플링 방법이라 한다.

스테이블 디퓨전은 이미지 샘플링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다. 여기서는 Euler-Maruyama 방법론을 사용한다.

# number of steps
num_steps = 500

def Euler_Maruyama_sampler(score_model,
                           marginal_prob_std,
                           diffusion_coeff,
                           batch_size=64,
                           x_shape=(1, 28, 28),
                           num_steps=num_steps,
                           device='cuda',
                           eps=1e-3, y=None): # Euler-Maruyama sampler 함수. score-based 모델을 사용해 샘플 생성. score_model: 시간 의존 스코어 모델, marginal_prob_std: 표준편차 반환 함수, diffusion_coeff: 확산 계수 함수, batch_size: 한번 호출시 생성할 샘플러 수, x_shape: 샘플 형태, num_steps: 샘플링 단계 수, device: 'cuda' 또는 'cpu', eps: 수치 안정성을 위한 허용값, y: 타겟 텐서 (이 함수에서 사용되지 않음) 

    t = torch.ones(batch_size, device=device)
    init_x = torch.randn(batch_size, *x_shape, device=device) * marginal_prob_std(t)[:, None, None, None]  # Initial sample
    
    time_steps = torch.linspace(1., eps, num_steps, device=device)
    step_size = time_steps[0] - time_steps[1] # Step size 시리즈
    x = init_x # 시간 t에 대한 초기 샘플
    
    with torch.no_grad(): # Euler-Maruyama 샘플링
        for time_step in tqdm(time_steps):
            batch_time_step = torch.ones(batch_size, device=device) * time_step
            g = diffusion_coeff(batch_time_step)
            mean_x = x + (g**2)[:, None, None, None] * score_model(x, batch_time_step, y=y) * step_size
            x = mean_x + torch.sqrt(step_size) * g[:, None, None, None] * torch.randn_like(x)
    
    return mean_x

U-Net 학습 및 결과 시각화
앞서 구현된 U-Net 모델을 학습한다. 학습은 50 에폭, 2024 미니배치크기로 진행하며, 데이터셋은 MNIST를 사용한다. 학습된 모델은 chpt.pth 로 저장된다. 

batch_size = 2048
transform = transforms.Compose([
    transforms.ToTensor()  # Convert image to PyTorch tensor
    # transforms.Normalize((0.5,), (0.5,))  # Normalize images with mean and std
])
dataset = torchvision.datasets.MNIST('.', train=True, transform=transform, download=True)
data_loader = torch.utils.data.DataLoader(dataset, batch_size=batch_size, shuffle=True)

n_epochs = 50
lr = 5e-4

optimizer = Adam(score_model.parameters(), lr=lr)

tqdm_epoch = trange(n_epochs)
for epoch in tqdm_epoch:
    avg_loss = 0.
    num_items = 0
    for x, y in tqdm(data_loader):
        x = x.to(device)
        loss = loss_fn(score_model, x, marginal_prob_std_fn)
        optimizer.zero_grad()
        loss.backward()
        optimizer.step()
        avg_loss += loss.item() * x.shape[0]
        num_items += x.shape[0]
    tqdm_epoch.set_description('Average Loss: {:5f}'.format(avg_loss / num_items))
    torch.save(score_model.state_dict(), 'ckpt.pth')

학습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시각화해본다. 샘플러는 앞서 정의한 Euler_Maruyama_sampler이며, 이 함수는 앞서 U-Net으로 학습된 score_function을 호출해 그 결과를 리턴한다(샘플링 결과). 결과를 보면 알겠지만, 노이즈 입력에 대한 필기체가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ample_batch_size = 64
num_steps = 500

sampler = Euler_Maruyama_sampler  # Euler-Maruyama sampler 사용
samples = sampler(score_model, marginal_prob_std_fn,
                  diffusion_coeff_fn, sample_batch_size,
                  num_steps=num_steps, device=device, y=None)
samples = samples.clamp(0.0, 1.0)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sample_grid = make_grid(samples, nrow=int(np.sqrt(sample_batch_size)))
plt.figure(figsize=(6, 6))
plt.axis('off')
plt.imshow(sample_grid.permute(1, 2, 0).cpu(), vmin=0., vmax=1.)
plt.show()    

이제 텍스트(여기서는 숫자)를 입력하면,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어텐션 레이어를 추가해 본다.

멀티모달 처리를 위한 어텐션 레이어와 트랜스포머 모듈 개발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의 어텐션 레이어는 입력에 대한 cross attention, spatial transformer (공간 트랜스포머)를 구현해야 한다.

어텐션 모델은 QKV(Query, Key, Value) 벡터로 학습된 컨텍스트 KV에 대한 질의 Q에 대한 스코어를 계산한다. 이런 특징은 멀티모달 생성AI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이 된다(예. KV는 이미지 학습, Q는 음성 입력). 이 벡터 QKV는 다음과 같이 차원 공간에서 기저벡터 e로 표현될 수 있다. 

핵심은 Q와 KV의 유사도 계산한 상호 벡터간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학습 모델을 설계하는 것에 있다(상세한 설명은 글 앞의 트랜스포머 설명 링크를 참고). 여기서는 Q가 MNIST의 각 숫자 번호가 될 것이다. 참고로, 셀프 어텐션은 입력 토큰 내 관계를 학습하며, 교차 어텐션의 경우 입력 토큰과 컨텍스트 특징 간의 관계를 학습한다. 이 계산 결과로 컨텍스트 벡터를 리턴한다. 

어텐션은 torch.einsum 함수를 사용해(참고 - Einstein summation 함수), 다음과 같이 코딩될 수 있다.
class CrossAttention(nn.Module):
    def __init__(self, embed_dim, hidden_dim, context_dim=None, num_heads=1): # 임베딩 차원, 은닉 차원, 컨텍스트 차원(self attention이면 None), 어텐션 헤드 수
        super(CrossAttention, self).__init__()

        self.hidden_dim = hidden_dim
        self.context_dim = context_dim
        self.embed_dim = embed_dim

        self.query = nn.Linear(hidden_dim, embed_dim, bias=False)  # Query에 대한 학습을 위한 선형 레이어
        
        if context_dim is None:
            self.self_attn = True
            self.key = nn.Linear(hidden_dim, embed_dim, bias=False)
            self.value = nn.Linear(hidden_dim, hidden_dim, bias=False)
        else:
            self.self_attn = False
            self.key = nn.Linear(context_dim, embed_dim, bias=False)
            self.value = nn.Linear(context_dim, hidden_dim, bias=False)

    def forward(self, tokens, context=None): # 토큰들[배치, 시퀀스 크기, 은닉 차원], 컨텍스트 정보[배치, 컨텍스트 시퀀스 크기, 컨텍스트 차원]. self_attn이 True면 컨텍스트는 무시됨
        if self.self_attn: # Self-attention case
            Q = self.query(tokens)
            K = self.key(tokens)
            V = self.value(tokens)
        else: # Cross-attention case
            Q = self.query(tokens)
            K = self.key(context)
            V = self.value(context)

        # Compute score matrices, attention matrices, and context vectors
        scoremats = torch.einsum("BTH,BSH->BTS", Q, K)  # Q, K간 내적 계산. 스코어 행렬 획득
        attnmats = F.softmax(scoremats / math.sqrt(self.embed_dim), dim=-1) # 스코어 행렬의 softmax 계산
        ctx_vecs = torch.einsum("BTS,BSH->BTH", attnmats, V)  # 어텐션 행렬 적용된 V벡터 계산 
        return ctx_vecs

앞의 어텐션 레이어를 포함한 트랜스포머 모듈을 개발한다. 

이 트랜스포머 모듈은 교차 어텐션, 피드포워드 신경망을 통합한다. 차원 형태는 [batch, sequence_len, hidden_dim] 입력 텐서, [batch, context_seq_len, context_dim]인 컨텍스트 텐서를 사용한다. 셀프-어텐션 및 크로스 어텐션 모듈 처리 다음에 레이어 정규화, 잔차 연결이 계산된다. 비선형 변환을 위한 GELU, MLP 레이어가 포함된다. 

class TransformerBlock(nn.Module):
    def __init__(self, hidden_dim, context_dim):  # 은닉 차원, 컨텍스트 차원
        super(TransformerBlock, self).__init__()

        self.attn_self = CrossAttention(hidden_dim, hidden_dim)
        self.attn_cross = CrossAttention(hidden_dim, hidden_dim, context_dim)

        self.norm1 = nn.LayerNorm(hidden_dim)
        self.norm2 = nn.LayerNorm(hidden_dim)
        self.norm3 = nn.LayerNorm(hidden_dim)

        self.ffn = nn.Sequential(
            nn.Linear(hidden_dim, 3 * hidden_dim),
            nn.GELU(),
            nn.Linear(3 * hidden_dim, hidden_dim)
        ) # Feed forward neural network. 2개의 레이어로 구성. 첫번째 레이어는 3 * hidden_dim개의 은닉 유닛을 가지고 nn.GELU 비선형성 함수를 사용. 두번째 레이어는 hidden_dim개의 은닉 유닛을 가짐

    def forward(self, x, context=None): # x: 입력 텐서[배치, 시퀀스 크기, 은닉 차원], context: 컨텍스트 텐서[배치, 컨텍스트 시퀀스 크기, 컨텍스트 차원]
        x = self.attn_self(self.norm1(x)) + x # self-attention 적용 후 layer normalization과 잔차 연결 적용
        x = self.attn_cross(self.norm2(x), context=context) + x # cross-attention 적용 후 layer normalization과 잔차 연결 적용
        x = self.ffn(self.norm3(x)) + x # feed forward neural network 적용 후 layer normalization과 잔차 연결 적용

        return x

이제, 공간 트랜스포머 모듈로 앞의 모듈을 통합한다. 

class SpatialTransformer(nn.Module):
    def __init__(self, hidden_dim, context_dim):
        super(SpatialTransformer, self).__init__()
        
        self.transformer = TransformerBlock(hidden_dim, context_dim)

    def forward(self, x, context=None): # x: 입력 텐서[배치, 채널, 높이, 너비], context: 컨텍스트 텐서[배치, 컨텍스트 시퀀스 크기, 컨텍스트 차원]
        b, c, h, w = x.shape
        x_in = x

        x = rearrange(x, "b c h w -> b (h w) c") # 입력 텐서의 차원을 재배열
        x = self.transformer(x, context) # 트랜스포머 블록 적용
        x = rearrange(x, 'b (h w) c -> b c h w', h=h, w=w) # 텐서의 차원을 원래대로 복원

        return x + x_in # 공간 변환기의 출력과 입력의 잔차 연결

U-Net과 공간 트랜스포머 통합
앞서 설명된 U-Net과 공간 트랜스포머를 통합해, 특정 조건에 따라(예. 입력 텍스트, 숫자 등),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U-Net 학습 모델을 일부 수정한다. 적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공간 트랜스포머로 파라메터(예. 텍스트, 숫자 등) 컨디셔닝한 부분이다. 

class UNet_Tranformer(nn.Module): # 시간 의존된 스코어 기반 U-NET 모델
    def __init__(self, marginal_prob_std, channels=[32, 64, 128, 256], embed_dim=256,
                 text_dim=256, nClass=10): # marginal_prob_std: 시간 t에 대한 표준편차 반환 함수, channels: 각 해상도의 특징 맵의 채널 수, embed_dim: 가우시안 랜덤 특징 임베딩의 차원, text_dim: 텍스트/숫자의 임베딩 차원, nClass: 모델링할 클래스 수
        super().__init__()

        # 시간에 대한 가우시안 랜덤 특징 임베딩 계층
        self.time_embed = nn.Sequential(
            GaussianFourierProjection(embed_dim=embed_dim),
            nn.Linear(embed_dim, embed_dim)
        )

        # 인코딩 레이어 (해상도 감소)
        self.conv1 = nn.Conv2d(1, channels[0], 3, stride=1, bias=False)
        self.dense1 = Dense(embed_dim, channels[0])
        self.gnorm1 = nn.GroupNorm(4, num_channels=channels[0])

        self.conv2 = nn.Conv2d(channels[0], channels[1], 3, stride=2, bias=False)
        self.dense2 = Dense(embed_dim, channels[1])
        self.gnorm2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1])

        self.conv3 = nn.Conv2d(channels[1], channels[2], 3, stride=2, bias=False)
        self.dense3 = Dense(embed_dim, channels[2])
        self.gnorm3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2])
        self.attn3 = SpatialTransformer(channels[2], text_dim)  # 컨텍스트 정보, 텍스트 임베딩 차원을 공간 트랜스포머에 설정

        self.conv4 = nn.Conv2d(channels[2], channels[3], 3, stride=2, bias=False)
        self.dense4 = Dense(embed_dim, channels[3])
        self.gnorm4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3])
        self.attn4 = SpatialTransformer(channels[3], text_dim)

        # 디코딩 레이어. 해상도 증가
        self.tconv4 = nn.ConvTranspose2d(channels[3], channels[2], 3, stride=2, bias=False)
        self.dense5 = Dense(embed_dim, channels[2])
        self.tgnorm4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2])

        self.tconv3 = nn.ConvTranspose2d(channels[2], channels[1], 3, stride=2, bias=False, output_padding=1)
        self.dense6 = Dense(embed_dim, channels[1])
        self.tgnorm3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1])

        self.tconv2 = nn.ConvTranspose2d(channels[1], channels[0], 3, stride=2, bias=False, output_padding=1)
        self.dense7 = Dense(embed_dim, channels[0])
        self.tgnorm2 = nn.GroupNorm(32, num_channels=channels[0])
        self.tconv1 = nn.ConvTranspose2d(channels[0], 1, 3, stride=1)

        # The swish activation function
        self.act = nn.SiLU()
        self.marginal_prob_std = marginal_prob_std
        self.cond_embed = nn.Embedding(nClass, text_dim)

    def forward(self, x, t, y=None): # U-Net 아키텍처를 통과한 출력 텐서 반환. x: 입력 텐서, t: 시간 텐서, y: 타겟 텐서 (텍스트 토큰. 예. MNIST 번호). h: U-Net 아키텍처를 통과한 출력 텐서
        embed = self.act(self.time_embed(t))
        y_embed = self.cond_embed(y).unsqueeze(1)

        # Encoding path
        h1 = self.conv1(x) + self.dense1(embed)
        h1 = self.act(self.gnorm1(h1))
        h2 = self.conv2(h1) + self.dense2(embed)
        h2 = self.act(self.gnorm2(h2))
        h3 = self.conv3(h2) + self.dense3(embed)
        h3 = self.act(self.gnorm3(h3))
        h3 = self.attn3(h3, y_embed)
        h4 = self.conv4(h3) + self.dense4(embed)
        h4 = self.act(self.gnorm4(h4))
        h4 = self.attn4(h4, y_embed)

        # Decoding path
        h = self.tconv4(h4) + self.dense5(embed)
        h = self.act(self.tgnorm4(h))
        h = self.tconv3(h + h3) + self.dense6(embed)
        h = self.act(self.tgnorm3(h))
        h = self.tconv2(h + h2) + self.dense7(embed)
        h = self.act(self.tgnorm2(h))
        h = self.tconv1(h + h1)

        # Normalize output
        h = h / self.marginal_prob_std(t)[:, None, None, None]
        return h
        
스테이블 디퓨전 손실 함수 수정 및 최종 학습
이제 손실 함수도 이에 따라 수정한다. 
def loss_fn_cond(model, x, y, marginal_prob_std, eps=1e-5): # model: 시간 의존된 스코어 기반 모델, x: 입력 데이터 미니배치, y: 조건 정보(타겟 텐서. 예. 입력 텍스트, 숫자), marginal_prob_std: 표준편차 반환 함수, eps: 수치 안정성을 위한 허용값
    random_t = torch.rand(x.shape[0], device=x.device) * (1. - eps) + eps # 미니배치 크기만큼 랜덤 시간 샘플링
    z = torch.randn_like(x) # 미니배치 크기만큼 정규 분포 랜덤 노이즈 생성
    std = marginal_prob_std(random_t) # 랜덤 시간에 대한 표준편차 계산
    perturbed_x = x + z * std[:, None, None, None] # 노이즈로 입력 데이터 왜곡

    score = model(perturbed_x, random_t, y=y) # 모델을 사용해 왜곡된 데이터와 시간에 대한 스코어 획득. 트랜스포머 어텐션에 Q로 입력되는 Y벡터 추가됨.
    loss = torch.mean(torch.sum((score * std[:, None, None, None] + z)**2, dim=(1, 2, 3))) # score 함수와 잡음에 기반한 손실 계산
    return loss

그리고, 앞서 동일한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학습한다. 앞의 손실 함수와 다른점은 y(MNIST 필기체 숫자. 적색표시)가 파라메터화된 조건으로 트랜스포머 어텐션 모델에 입력되었다는 것이다.
score_model = torch.nn.DataParallel(UNet_Tranformer(marginal_prob_std=marginal_prob_std_fn))
score_model = score_model.to(device)

n_epochs = 100   
batch_size = 1024 
lr = 10e-4        

transform = transforms.Compose([
    transforms.ToTensor()  # Convert image to PyTorch tensor
])
dataset = torchvision.datasets.MNIST('.', train=True, transform=transform, download=True)
data_loader = torch.utils.data.DataLoader(dataset, batch_size=batch_size, shuffle=True)

optimizer = Adam(score_model.parameters(), lr=lr)
scheduler = LambdaLR(optimizer, lr_lambda=lambda epoch: max(0.2, 0.98 ** epoch))

tqdm_epoch = trange(n_epochs)
for epoch in tqdm_epoch:
    avg_loss = 0.
    num_items = 0

    for x, y in tqdm(data_loader):
        x = x.to(device)

        loss = loss_fn_cond(score_model, x, y, marginal_prob_std_fn)
        optimizer.zero_grad()
        loss.backward()
        optimizer.step()
        avg_loss += loss.item() * x.shape[0]
        num_items += x.shape[0]

    scheduler.step()
    lr_current = scheduler.get_last_lr()[0]

    print('{} Average Loss: {:5f} lr {:.1e}'.format(epoch, avg_loss / num_items, lr_current))
    tqdm_epoch.set_description('Average Loss: {:5f}'.format(avg_loss / num_items))

    torch.save(score_model.state_dict(), 'ckpt_transformer.pth')

스테이블 디퓨전 학습 과정

학습된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 기반 생성AI 테스트
이제 학습된 모델을 이용해, 각 입력조건(예. MNIST 필기체 숫자)에 따라 적절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지를 확인한다. 
ckpt = torch.load('ckpt_transformer.pth', map_location=device)
score_model.load_state_dict(ckpt)

digit = 9 # 생성AI 입력 조건. 0~9까지 숫자 생성 가능

sample_batch_size = 64 
num_steps = 250
sampler = Euler_Maruyama_sampler
# score_model.eval()

samples = sampler(score_model,
        marginal_prob_std_fn,
        diffusion_coeff_fn,
        sample_batch_size,
        num_steps=num_steps,
        device=device,
        y=digit*torch.ones(sample_batch_size, dtype=torch.long))

# 생성 결과 확인
samples = samples.clamp(0.0, 1.0)
sample_grid = make_grid(samples, nrow=int(np.sqrt(sample_batch_size)))

plt.figure(figsize=(6,6))
plt.axis('off')
plt.imshow(sample_grid.permute(1, 2, 0).cpu(), vmin=0., vmax=1.)
plt.show()

결과와 같이, 제대로 입력 조건에 따라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이 어떻게 멀티모달 조건에서 생성할 데이터를 학습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멀티모달 입력에 대한 생성 결과('9' 입력 > 생성 이미지)

마무리
이 글에서는 멀티모달리티를 구현하는 생성AI의 아키텍처인 스테이블 디퓨전의 구현 방법을 확인하고, 실행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생성AI의 동작원리를 좀 더 깊게 살펴보았다. 

독일 뮌헨 대학에서 학습한 규모의 이미지 데이터량을 학습하려면, 개인이 하기에는 비싼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므로, 이 글에서는 MNIST와 같은 소형 데이터셋을 대상으로 학습하여, 학습되는 파라메터 수를 GPU 2GB 내에서 계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스테이블 디퓨전은 기존에 개발되었던 오토임베딩, 잠재공간표현, U-Net, ResNet, 파라메터 컨디셔닝, 멀티 모달, CLIP, 디퓨전, 트랜스포머 어텐션 모델이 모두 적용된 멀티모달 Text To Image 모델이다. 

현재 시점에서는 멀티모달에 대한 핵심 컴포넌트가 개발되어 성능이 이미 검증되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OpenAI SORA와 같은 Text-To-Video와 같은 Multi-Modal Gen AI 모델은 더욱 다양하게 개발될 것이라 예상된다. 
OpenAI Text To Video Gen AI - SORA

레퍼런스